신준민 | Shin Junmin 신준민(b. 1985)은 영남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했다. 그는 일상에서 산책자가 되어 자연 빛과 인공 빛 등 다양한 빛의 형상에 관심을 가지며 그날의 바람, 공기, 온도, 소리 등의 비가시적 요소에 주목하여 가시화한 회화 작업을 하고 있다.White Out(2024, Pipe Gallery), White Shadow(2024, Artspace Purl), New Light(2022, 보안여관1942), 등 지금까지 총 10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주요 수상으로는 올해의 청년작가(2015,대구문화예술회관), 수성신진작가(2017,수성아트피아), 청년예술가육성지원(2018-2019,대구문화재단), 하정웅 청년작가(2019,광주시립미술관), 청년예술가생애첫지원(2022,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선정되었다. 어두운 밤, 산책로를 거닐다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수많은 빛과 마주하였다. 강변에 일렁이는 빛이나 가로등이나 경기장처럼 밤을 밝히는 빛, 불투명한 창에 반사된 빛의 잔상 등, 자연의 빛과 인공조명이 발하는 빛의 형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얗게 반짝이는 빛은 무언가로 가득 차 있으면서도 텅 비어 보였고, 어떠한 것보다 맑고 투명하였다. 어떤 대상을 비추는 빛은 눈부실 정도로 강렬하여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하얀 세상을 가져다주었고, 빛에 비춰진 대상은 그 순간의 감정과 상황에 따라 눈앞에 아른거리는 또 다른 잔상을 가져다주었다. 나에게 있어서 이러한 빛은 그날의 바람, 온도, 소리, 등 다양한 감각적 형태로 온몸에 받아들여진다. 이를 통해 캔버스에 물감으로 남겨진 빛의 형상은 수많은 선을 가로지르며 겹쳐지고, 흘러내리며 형체가 사라짐과 동시에 새로운 형체가 형성되는 것을 마주하게 된다. 이처럼 빛의 형상과 풍경이 가지는 내러티브는 나에게 새로운 회화적 고민을 안겨주었다. 이에 특정한 형상이 없는 빛이 공간과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빛의 형상을 포착하고 물질성과 비물질성, 구상과 추상의 경계점, 가시성과 비가시성 사이에서 교차되는 지점을 회화로써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빛이 누군가에게 저마다의 빛이 되길 바란다. - 작가노트 중에서 - Education2015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졸업2012 영남대학교 디자인미술대학 회화과 졸업Solo Exhibition2024 White Shadow, 아트스페이스 펄, 대구2024 White Out, 파이프갤러리, 서울2022 New Light, 보안여관, 서울2022 산책, 아트스페이스 펄, 대구2021 빛이 지나간 자리, 어울아트센터, 대구2018 Adventure, 아트스페이스 펄, 대구2017 Night Flight, 수성아트피아, 대구2016 Everywhere, 예술공간 거인, 청통 & 아트클럽 삼덕, 대구2015 올해의 청년작가 초대전,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2014 겨울잠, 봉산문화회관, 대구Group Exhibition2025 옥토, 페이지룸8x지우헌, 서울2024 My Props, 꾸꿈아트센터, 대구2024 Emotional Landscape, 페이토갤러리, 서울2024 회화산책, 신세계갤러리. 대구2024 옥토, 페이지룸8, 서울2023 Green Luminance, 갤러리호호, 서울2023 예술통신사:거점, 시안미술관, 영천2023 다른이름저장, 021갤러리 상동, 대구2023 디아스포라, 수성아트피아, 대구2023 다이얼로그:마인드 맵, 플랜트라스 성수, 서울2023 Hyper Impresionism, 예술발전소, 대구2023 Walking on canvas, 페이지룸8, 서울2023 Point to point, ArtpurlU, 울산2023 아름다운 숨결, 아트스페이스 펄, 대구2022 플라네르, 파이프갤러리, 서울2022 또 다른 가능성-체현된 풍경, 봉산문화회관, 대구2021 Six Scent, 아트스페이스 펄, 대구2021 Wish you were here, 공간독립, 대구2021 일상은 아름다워, 문화예술회관, 대구2020 글리치&비주얼 아트 <팬데믹>, 대구예술발전소, 대구2020 부산:시선과 관점, F1963 석천홀, 부산2020 예술이 되는 장소, 비영리전시공간 싹, 대구2019 ‘THE MATCH’, 수성아트피아, 대구2019 ‘빛’ 하정웅 청년작가초대전, 광주시립미술관 분관, 광주2019 소북소북,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2019 스테어스 아트페어, 영무예다음, 대구2018 달빛, 별빛, 예술가의 시간, 웃는얼굴아트센터, 대구2018 보통의 시선, 시안미술관, 영천2018 경험의 궤도, 스페이스 K, 과천2017 스완송, 봉산문화회관, 대구2017 들여다보기+그래피티,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2017 서상동 프로젝트 #1, 보물섬, 경산2017 대구예술생태보감, 예술발전소, 대구2017 크리티컬 포인트, 스페이스 K, 대구2016 Bunker, 봉산문화회관, 대구2016 파운데이션, 아트클럽삼덕, 대구2016 또 다른 가능성으로부터, 봉산문화회관, 대구2015 Blue Gate, 예술공간 거인, 청통2015 O% 4 Young Artist Project, 아트스페이스 펄, 대구2015 플라이 투 미, 예술발전소, 대구2014 YAP – 청년미술프로젝트, 엑스코, 대구2014 리턴 투 방천, 스페이스 Bar, 대구2014 Hikers, 꽁지마을, 대구2013 셀시우스,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2013 A Gathering, 대안공간 싹, 대구2013 동방의 요괴들 선정작가전, 스페이스 K, 광주2013 사각형, 방천에서, 토마프로젝트 9-21, 대구2013 판타지-윌 비 데어, 예술발전소, 대구Awards & Grants2022 청년예술가 생애첫지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2019 하정웅 청년작가 선정, 광주시립미술관, 광주2018 청년예술가육성지원 선정, 대구문화재단, 대구2017 수성신진작가 선정, 수성아트피아, 대구2015 올해의 청년작가 선정,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Collections대구문화예술회관, SK영남에너지서비스,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영남대학교병원 CONTACT EMAIL eva01421@naver.comINSTAGRAM @shinjunm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