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BLUE 과거에는 남동광, 청금석, 코발타이트 등의 광석에서 청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 중 도자기의 재료로써 사용된 것은 휘코발트석, 비코발트광 등에서 얻는 코발트이다. 외부환경에 반응하여 산화되는 남동광이나 고온에서는 녹아 무색의 유리가 되는 청금석과 달리 코발트는 고온에서 색상이 변화하여 맑고 깊은 청색으로 발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영향으로 조선 초기부터 청색안료-코발트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중국 또한 이 안료를 이슬람에서 수입하였기 때문에상당히 고가의 재료였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왕조는 코발트 안료를 왕실도자기제작소인 관요에서만 사용하도록 규제하였고 17세기 후반까지 왕실과 양반층만이 청색안료로 채색된 도자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코발트 안료로 채색한 도자기는 청화백자라 일컫는다. 코발트 자체가 매우 희귀한 고가의 재료였기 때문에 장식기법 중 청화기법에만 사용되었다. 수백 년 동안이어온 이러한 기조는 청화백자를 소유하기 위한 수많은 역사 속 에피소드를 낳았으며, White & blue라는 가장 클래식하면서도 사랑받는 색상조합을 탄생시켰다. 김 덕 호 金德鎬 KIM, DEOKHO1985년 출생 현 양구백자연구소 선임 연구원2014 백석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공예디자인과 출강 2015~2017 성신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공예전공 출강201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교 공예전공 출강 Education 201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디자인학부 도예전공 졸업 201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도예전공 졸업 Solo Exhibiton2016 VESTIGE, LVS project, 서울, 한국.2019 공간, Lkate gallery, 서울, 한국. Exhibition2019 수묵의 독백, 밀라노 디자인 위크 2019 - 슈퍼스튜디오 센터포인트 KCDF 전시장, 밀라노, 이탈리아2018 가가례, 아름지기, 서울, 한국2018 인연, 렌코도오 갤러리, 교토, 일본2018 시간의 여정. 주 아르헨티나 한국문화원,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2018 시간의 여정. 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시드니, 호주2018 백자의 여름 - 차와 도구, 양구백자박물관, 양구, 한국2018 약방, 창경궁 궐내각사, 서울, 한국 / 문화재청, 한국문화재재단2018 시간의 여정. 스페인 장식미술관, 마드리드, 스페인2018 피서, 한국문화재재단, 서울, 한국2018 음용도구, 예올, 서울, 한국2017 TRESOR Contemporary Craft, Messe Basel, Basel, Switzerland2017 Steel Craft-라이프스타일전,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한국2017 백자의 여름-또 하나의 양구백자, 양구백자박물관, 양구, 한국2017 다경-국제차문화교류전, 서안미술학원, 서안, 중국2017 SOFA Chicago 2017, Navy Pier, 시카고, 미국2017 黑‧白, Babaghury, 도쿄, 일본2017 The room of desire, Raumwerk gallery, 뮌헨2017 COLLECT 2017, Saatchi Gallery, 런던, 영국2016 윤생프로젝트, LKate Gallery, 서울, 한국2016 Contemporary Ceramic Art in Asia, NTCRI, 타이페이, 대만2016 Make Your Movements: Korean Contemporary Objects, A New Approach, Korean Cultural Center UK, London, UK2016 VASE: Function Reviewed, National Craft Gallery, Catstle Yard, Kilkenny, Ireland2016 Together, LKate Gallery, 서울, 한국2016 Korea NOW!, Bayerisches National museum, 뮌헨, 독일2016 Kap-Sun Hwang und seine Schüler", Galerie Handwerk, 뮌헨, 독일2016 Artgeneve 2016, Gallery LVS, 제네바, 스위스2015 Craft Trend Fair 2015, Gallery LVS, 서울, 한국2015 SOFA Chicago 2015, KCDF, 시카고, 미국2015 Intimacy & crafts, Mr Kitly, 멜버른, 호주2015 COLLECT 2015, Gallery LVS Saatchi Gallery, 런던, 영국2015 생티티엔비엔날레,The Experience of Beauty, 생티티엔, 프랑스2014 국제공예트렌드페어, Gallery LVS, 서울, 한국2014 한국 현대미술의 궤적, 서울대학교 문화관, 서울, 한국2014 도자, 미래를 말하다, 경운박물관, 서울, 한국2014 COLLECT 2014, Gallery LVS, Saatchi Gallery, 런던, 영국2014 기다림의 美, 청주시한국공예관, 청주, 한국2014 온·기 溫技, 문화역서울 284, Gallery LVS, 서울, 한국2013 The Gift Collection, Gallery LVS, LVS Craft, 서울2013 Sprout, Gallery Rubi, 도쿄, 일본2013 White in White, JFChen Gallery, 로스앤젤레스, 미국2013 새로운 과거, 서울대학교 박물관, 서울, 한국2013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국제산업관, LVS gallery, 청주, 한국 2013 일상의 품격, Mokkumto Gallery, 서울, 한국2013 EUTEKTIKUM, Galerie Rosemarie jager, 호흐하임, 독일2013 2013 리빙디자인페어, LVS gallery, 서울, 한국2012 갤러리 이도 신진작가 기획전, Gallery Yido, 서울, 한국2012 52-1, 부산수호롬갤러리, 부산, 한국2012 백중백, Gallery LVS, 서울, 한국2012 From Fürstenberg to Asia. Museum in Castle Fürstenberg, 퓌어스텐베르크, 독일2010 ‘제3회 전통주와 전통음식의 만남, 아름다운 우리그릇’ 展, 남산골 한옥마을, 서울, 한국2010 ‘그러면’展, Gallery IS, 서울, 한국 Awards2020 예올이 뽑은 올해의 젊은 공예인2016 입선, 제4회 광주백자공모전, 한국2015 입선, 제4회 아름다운 우리도자기 공모전, 한국.2013 입선, 제8회 청주 국제 공예 공모전, Korea.2011 Selected, “Premio Faenza” International Competition of Ceramic Art, Italy CollectionV&A museum, london, UK.양구백자박물관, Yanggu, Korea.2015 Longhouse, East Hampton, New York, USA.